git5 [Git] default branch 변경 최신 Git default branch 변경하는 법에 대해 알아보자 이미 많은 블로그에서 소개가 되어있는데 굳이 내가 또 적는것은 최근에 좀 달라진거 같았기 때문이다. 보통 repository -> setting -> branch로 많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왠걸 default 브랜치 설정하는게 안보인다. 2022년초에 적힌 글까지는 이렇게 적혀있었는데 그새 바뀐모양이다. 정답은 respository -> setting으로 가면 바로 보이는 General에 있었다. 이제 예전글 보고 나처럼 헤메지 말자 2023. 7. 31. There isn’t anything to compare 문제 이 문제는 원인이 다양한건지 나의 경우는 google에서 원인을 찾기 어려웠다. 그래도 나의 경우가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될 수 있을까 해서 글을 남긴다. 상황은 이렇다. 팀원이 지금까지 해온 것들을 풀 리퀘스트 해달라고 하였는데 모종의 실수로 기존것과 commit 로그가 달라서 새로운 브랜치를 만들어서 commit 해달라는것이다. 그래서 그냥 기존 작업폴더에서 다른 브랜치를 만들어서 commit 후 pr하였는데 위와 같은 사진이 뜨면서 pr을 할 수 없는 상황 코드 내용을 많이 고친것도 아니고 conflict 날만한 것도 없었다. 해결 1. 로컬에 새폴더를 만들어서 원격지의 main branch 파일을 pull 2. 기존의 로컬 리포지토리 파일을 덮어씌운다. 3. git checkout -b 새로운 브랜.. 2022. 10. 7. Github failed to push some refs to 원인 협업을 처음할 때 이런 화면을 마주하게 될 수 있다. 다른 사람이 push 한게 있다면 나는 바로 push를 할 수가 없다. 답은 4번째 힌트 있다. 먼저 pull을 해줘야한다. git pull 원격저장소주소 브랜치명 순으로 먼저 pull을 하고 push를 하면된다. 2022. 7. 22. git commit된 것과 현재파일 차이점 보기 git diff라는 명령어가 있지만 터미널의 한계와 enter키 치는것을 차이로 반영하는등 사용상의 불편함이 많이 때문에 잘 안씀 git difftool을 쓰면 vim이 떠서 훨씬 보기 좋게 차이점을 확인 가능 h j k l로 움직이고 :qa로 나간다 그런데 요즘은 에디터내에 좋은 extension이 많아서 이것도 잘 안쓴다 대표적으로 vsc의 경우 git graph extension을 설치하면 git log가 필요없는 수준이다. 2022. 7. 22. 이전 1 2 다음